국내 맞춤형 ’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’ 마련 <br />성견·성묘·새끼 개체 등 구분해 표준 제시 <br />사료 품질·안전성 확보…사료 산업 경쟁력↑<br /><br /> <br />앞으로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이전보다 영양 균형이 잘 잡힌 사료를 먹일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농촌진흥청이 국내 실정에 맞는 반려동물의 사료 영양표준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반려견 '두비'와 '새비'를 키우는 최예진 씨는 요즘 사료 문제로 고민이 큽니다. <br /> <br />두 마리 모두 관절이 좋지 않아 병원 처방식을 먹이고 있는데, <br /> <br />사료의 정확한 성분을 알 수 없는 데다, 적절한 양에 대한 기준이 없는 탓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국내 사료는 영양표준이 없어 외국 사료를 참고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예진 / 반려인 : 예를 들면 사람도 단백질을 몇 그램씩 먹어야 된다고 하는데 이제 동물들은 그런 기준 같은 게 없으니까 / 얼마나 먹어야 되는지 이게 이 아이한테 좋은 건지를 사실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반려동물은 동물 종류와 성장단계에 따라 영양표준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유럽 등 외국에선 사료 영양표준을 제정하고 산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렇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농진청이 반려동물 영양연구단체와 전문가들과 함께 국내 실정에 맞는 사료 영양표준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개와 고양이의 성장단계에 맞춰 필요한 영양소와 권장 함량을 구체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[소경민 / 농촌진흥청 동물복지연구팀 농업연구관 : 성견, 다 자란 동물인 경우, 아니면 지금 성장하고 있는 단계, 아니면 번식 단계, 이런 단계들을 구분해서 각각의 다른 영양 기준을 설정했습니다. 꼭 필요한 영양 수준 제시를 한 거고요.] <br /> <br />이번 영양표준 설정으로 국내 반려동물 사료 산업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박창우/ 펫 사료 제조업체 연구팀장 : 국내 제품들이 이제 하나의 영양 기준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하게 되고 그만큼 균일한 품질력, 그리고 영양 기준에 맞는 제품의 품질이 올라갈 것으로 생각돼서 수출에도 훨씬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정부가 펫 푸드 산업을 4대 주력산업으로 선정한 만큼 156조 원에 달하는 세계 펫 푸드 시장 공략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102415204905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